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 사례 모음: 가상의 공간에서 브랜드를 표현하는 법

by 성은 가득한 하루 2025. 3. 29.

디지털 시대, 전시회도 점점 현실을 벗어나 가상공간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타버스 기반 전시회에서는 부스 디자인이 단순한 전시를 넘어, 브랜드의 세계관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핵심 수단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운영된 메타버스 전시회 속 부스 디자인 사례들을 모아보고, 각 기업들이 어떻게 창의성과 기술을 활용해 몰입감 있는 부스를 구현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이 중요한 이유

메타버스 부스는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 참가자가 탐험하고 머무르고 싶게 만드는 공간
  • 브랜드의 감성, 기술력, 차별성을 표현하는 무대
  • 현장 부스보다 자유로운 형태와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캔버스

즉, 잘 만든 메타버스 부스는 현실보다 더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

 

국내외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 사례 BEST 6

1. 삼성전자 CES 2022 (삼성 메타버스관 in ZEPETO)

  • 특징: 삼성전자는 ZEPETO 플랫폼을 활용해 My House라는 테마의 부스를 만들었습니다. 참가자는 가상 집 안에 삼성의 제품들을 배치하며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었죠.
  • 포인트:
    •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배치 체험형 브랜딩
    • 유저 아바타가 제품에 앉고, 조작 가능 몰입감 증가
    • 브랜드 경험을 게임 요소로 자연스럽게 녹여냄

2. SKT 메타버스 월드 in ifland

  • 특징: SKT는 자체 플랫폼 ifland를 통해 공간별 테마관을 만들어 다양한 서비스 체험을 유도했습니다.
  • 포인트:
    • 미래 도시, 우주선 등의 스토리텔링형 공간 구성
    • 3D 아바타와 공간이 어우러지는 인터랙션 중심
    • 브랜드 메시지를 공간 구조로 표현

3. 서울산업진흥원 청년 창업박람회 (ZEP 활용)

  • 특징: ZEP 플랫폼 기반의 2D 박람회. 스타트업 부스를 한 공간에 모아 청년 친화적 분위기를 연출.
  • 포인트:
    • 픽셀 스타일로 익숙하고 편안한 UI
    • 부스별 영상, 채팅, 외부링크 연동
    •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부스를 누비며 탐색

4. LVMH 메타버스 럭셔리관 (FrameVR 기반)

  • 특징: 고급스러운 3D 쇼룸 형태로, 브랜드의 역사와 가치를 전시관처럼 연출.
  • 포인트:
    • 실사에 가까운 제품 렌더링
    • 아트 갤러리처럼 구성된 콘텐츠존
    • VIP 전용 접속 공간도 마련 프리미엄 이미지 강화

5. 농림축산식품부 푸드테크 메타버스 박람회

  • 특징: 국내 푸드 스타트업 제품을 가상으로 소개. 참가자는 전시장, 시식 체험관, 요리실 등을 아바타로 이동.
  • 포인트:
    • 식품 체험 불가라는 한계를 공간적 창의성으로 극복
    • 3D 식탁에 음식이 놓이는 애니메이션
    • 시청자가 체험 후 설문 제출 참여 유도

6.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글로벌 뷰티 수출상담회

  • 특징: 해외 바이어를 위해 마련된 ‘뷰티 테마 부스. FrameVR 플랫폼을 통해 3D 제품 체험 + 실시간 상담 제공.
  • 포인트:
    • 제품을 360도로 회전하며 볼 수 있음
    • 클릭 시 기업 영상 또는 PDF 브로슈어 연동
    • 실시간 화상 미팅 창과 연결 디지털 쇼룸 + 상담 공간 융합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 트렌드 키워드

  1. 스토리텔링 공간: 단순 정보 나열보다, 하나의 세계관으로 구성
  2. 아바타 인터랙션: 클릭이 아니라 움직이며 체험하는 구조
  3. 맞춤형 체험: 참가자가 직접 구성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요소
  4. 멀티미디어 연동: 영상, 링크, 문서, 라이브 미팅까지 연결
  5. SNS 인증 포인트: 아바타가 찍는 포토존 형식으로 확장

기획자를 위한 부스 디자인 팁

  • 타깃에 맞는 플랫폼 선택: 10~20대라면 ZEP, B2B 행사라면 FrameVR, 콘퍼런스형이면 ifland 등
  • 단일 테마 유지: 우주선, 집, 미래 도시 등 통일된 공간 구성
  • 브랜드 색상 로고 강조: 현실보다 더 강렬하게 표현 가능
  • 참가자 동선 고려: 시작 유입 체험 소통 이탈 경로 설계
  • 데이터 분석 기능 연동: 어느 부스에서 오래 머무는지 확인 가능하게

공간은 현실이지만, 상상력은 무한하다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은 이제 단순한 디지털 복사본이 아닙니다. 그 자체로 브랜드의 개성과 철학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무대입니다. 현실의 제약이 없는 만큼, 오히려 더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관람객에게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앞으로 MICE 산업은 메타버스를 통해 "단순한 관람"에서 "기억에 남는 체험"으로 변화할 것입니다. 기획자라면 지금부터 메타버스 부스 디자인 역량을 갖추는 것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