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시 산업의 ‘플라스틱 다이어트’, 실천 가능한 변화부터 시작된다

by 성은 가득한 하루 2025. 3. 30.

전시회, 편리함 뒤에 숨겨진 환경 비용

전시회 현장은 생동감 넘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이지만, 이면에는 막대한 플라스틱 소비와 폐기물 발생이라는 그림자가 존재합니다. 부스 자재, 현수막, 물병, 컵, 포장재, 굿즈, 네임택, 비닐 가방 등 우리가 익숙하게 접하는 전시회 구성 요소 대부분에는 플라스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사용은 단기적으로는 편리하지만, 회수되지 않는 플라스틱은 매립 소각되며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제는 전시 산업도 지속가능성과 플라스틱 제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시회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국내외의 실제 시도들과 실천 전략을 분석하고, 기획자와 참가자가 함께 실천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제안을 소개합니다.

왜 전시회에서 플라스틱 절감이 중요한가?

1. 사용량이 많고 일회성 비중이 높다

전시회는 짧은 기간에 수천~수만 명이 방문하며, 그에 따른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 1회 행사에서만 일회용 생수병 5,000개 소비
  • 참가자 1인당 평균 3개 이상의 비닐 포장 굿즈 수령
  • 폐플라스틱 배너는 재활용 없이 전량 소각 처리

2. 회수 및 재활용률이 낮다

전시회 특성상 현장에서 배포된 플라스틱의 회수 체계가 미비합니다.
특히 혼합소재(코팅 종이, 플라스틱+천 복합자재)는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폐기됩니다.

3. ESG/탄소중립 흐름과 맞지 않는다

기업이나 기관이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플라스틱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경우,
브랜드 이미지와 지속가능성 정책 간 괴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절감

전시회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실제 시도들

1. 다회용 컵 텀블러 시스템 도입

✔ 사례

  • 서울환경연합 박람회: 현장에 다회용 컵 대여소 설치 사용 후 세척소에서 회수
  • UN 기후회의 COP26: 모든 식음료 부스에서 일회용 컵 사용 금지 컵 반납 시 보증금 환급 제도 운영

✔ 효과

  •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량 90% 이상 절감
  • 참가자 인식 개선 및 자발적 참여 유도

2. 플라스틱 굿즈 대신 지속가능 굿즈 제공

✔ 사례

  • 경기도 환경에너지박람회: 폐페트병을 활용한 업사이클 파우치 배포
  • 스타트업 전시회 NEXT RISE: 일회용 볼펜 대신 씨앗 연필, 재활용 노트북 배포

✔ 전략

  • 기념품 선택 시 단가보다 환경적 가치와 지속 사용 가능성을 고려
  • 굿즈 자체가 브랜드의 ESG 메시지를 담는 매개체로 활용됨

3. 플라스틱 네임택/출입증 대신 디지털 패스 활용

✔ 사례

  • CES (미국 전자박람회): 종이 기반 QR코드 출입증 전환
  • 서울디지털페어: 참가자 앱에서 출입증 + 프로그램 일정 + 지도까지 통합 운영

✔ 장점

  • 목걸이형 플라스틱 네임택, PVC 출입증의 생산 폐기 최소화
  • 모바일 기반으로 실시간 정보 제공 및 환경 보호 동시 달성

4. 부스 자재의 재사용/친환경 소재 전환

✔ 사례

  • BIOFACH (독일 유기농 박람회): 나무, 판지, 알루미늄 등 재사용 가능한 모듈형 부스 자재만 허용
  • 서울시 전시부스 디자인 가이드: 폐기물 발생량 낮은 구조물, 재사용률 기준 명시

✔ 실행 전략

  • 전시 기획 단계부터 "1회성 자재 OUT" 원칙 적용
  • 협력업체 선정 시 친환경 시공 경험 포함 여부 확인

5. 현수막/배너 등 플라스틱 홍보물 절감

✔ 사례

  • 카카오 ESG 행사: 종이 배너 디지털 사이니지만 활용
  • 플라스틱프리전시회: 폐현수막을 재단해 만든 에코백을 참가자에게 제공

✔ 실천 팁

  • 행사 내 모든 정보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QR코드로 대체
  • 브랜드 가치를 드러내는 재활용 배너 굿즈화 시도

6. 플라스틱 회수 및 리사이클링 시스템 마련

✔ 사례

  • 부산국제영화제 BIFF: 행사장 내 플라스틱 수거함 지역 재활용 사회적 기업과 연계
  • EXCO 친환경 전시회: 참가자에게 사용한 플라스틱 회수 캠페인 참여 유도 현장 기념품 교환

✔ 기대 효과

  • 단순 줄이기를 넘어 참가자 인식 개선과 행동 변화 유도
  • 회수된 플라스틱을 활용한 재활용 콘텐츠 제작으로 행사 후 지속 노출 가능

플라스틱 절감을 위한 전시 기획자 체크리스트

항목실천 여부 체크
1. 페트병 대신 다회용 컵/텀블러 도입
2. 비닐 포장 굿즈 대신 친환경 소재 굿즈 사용
3. 종이/디지털 출입증 도입 여부
4. 모듈형, 재사용 가능한 부스 구조 설계
5. 현수막 대신 디지털 디스플레이 사용
6. 플라스틱 회수 캠페인 유무

완벽한 제로 보다, 지속 가능한 감소를 먼저

전시회에서 플라스틱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작은 시도들이 모이면, 전시 문화는 보다 책임감 있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기획자는 단순히 예산과 동선을 고민하는 역할을 넘어, 브랜드와 참가자의 환경 인식을 바꾸는 설계자가 되어야 하며, 참가자 역시 전시 현장에서 선택 가능한 친환경 옵션을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지속가능한 전시는 나중에가 아닌, 지금 여기서부터 가능한 변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