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시대, MICE 산업도 지속가능성을 고민해야 할 때
MICE 산업(MICE: 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은 도시의 경제 활성화와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에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막대한 에너지 소비, 폐기물 발생, 교통 혼잡 등 환경적 부담도 안고 있는 산업입니다. 기후 변화 대응,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탄소중립 선언이 전 세계적인 흐름이 되면서 MICE 산업도 이제 단순한 이벤트 산업이 아닌,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속가능한 MICE 산업이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일까요? 이 글에서는 환경, 사회, 경제 세 가지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조건과 전략을 살펴봅니다.
지속가능한 MICE 산업이란?
지속가능한 MICE 산업이란 단순히 친환경적인 행사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부합하면서, 환경적 책임, 사회적 포용성, 경제적 지속성을 모두 고려한 MICE 산업을 의미합니다. 즉, 한 번의 행사를 넘어서, 참가자, 지역사회, 환경, 경제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남기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속가능한 MICE 산업의 3대 핵심 조건
1. 환경적 지속가능성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지속가능성의 조건은 바로 친환경입니다. 전통적인 MICE 행사는 대규모 인원이 이동하고, 종이 자료와 일회용품이 사용되며,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실천 전략
- 페이퍼리스(Paperless) 운영
종이 브로슈어 대신 디지털 자료, QR코드 활용, 전자 명함 사용 - 친환경 전시장 설계
LED 조명,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 재활용 가능한 부스 자재 사용 - 대중교통 이용 유도 및 셔틀 운행
행사장 접근성 개선, 교통 관련 탄소 배출 감소 - 폐기물 최소화 프로그램
분리수거 스테이션, 사후 자원 회수 시스템 구축 - 탄소배출 상쇄 프로그램 도입
탄소배출량 측정 후, 탄소 크레디트 구매나 숲 조성 기부 연계
✔ 예시
COP26 기후회의는 완전한 페이퍼리스 운영과 함께,
모든 참가자의 탄소 배출을 측정하고 상쇄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2. 사회적 지속가능성 (Social Sustainability)
MICE 산업은 단순한 비즈니스 기회 제공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시민이 함께 참여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되어야 합니다.
✔ 실천 전략
- 지역 인재와 협력사 우선 활용
운영 인력, 공급 업체를 지역 기반으로 선정해 일자리 창출 - 접근성 향상 및 포용성 고려
장애인, 고령자, 유아 동반자 등을 위한 무장애 공간 설계 - 다양성과 인권 고려한 행사 운영
성별, 연령, 국적을 고려한 포럼 주제, 연사 구성, 통역 시스템 제공 - 지역 문화와의 연계
전시 콘퍼런스 외 프로그램에서 지역 문화 콘텐츠(공연, 음식, 공예 등) 소개 -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도입
일반 시민 대상 강연, 체험존 등으로 MICE 산업의 대중화
✔ 예시
유네스코 문화포럼은 지역 청년 자원봉사자와 문화 기획자를 행사의 기획 과정부터 참여시켜,
단순한 관람객을 넘어서는 주체적 참여자 구조를 만들어냈습니다.
3. 경제적 지속가능성 (Economic Sustainability)
행사가 지속가능하려면 단기 이익을 넘어선, 장기적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한 번 열고 끝나는 행사가 아닌, 도시와 기업, 참가자 모두에게 남는 가치를 만들어야 합니다.
✔ 실천 전략
- 지역 기반 기업과의 협업 확대
행사 장소 선정 시, 지역 중소기업 제품 서비스 우선 사용 -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 확보
후원사 유치 외에도, 디지털 콘텐츠 판매, 온라인 참가 티켓 등 수익 다각화 - 재사용 가능한 자산 구축
반복 사용 가능한 전시 인프라, 공공 전시 플랫폼 구축 - 참가자 만족도 기반 반복 방문 유도
행사 후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콘텐츠 개선 지속적인 브랜드 충성도 형성 - 디지털 전시 콘텐츠 재활용
라이브 행사 이후, 온라인 VOD, 자료집, 뉴스레터로 콘텐츠 수명 연장
✔ 예시
독일 프랑크푸르트 메세는 현장 전시 외에도 디지털 부스와 B2B 매칭 시스템을 운영하여
행사가 끝난 후에도 비즈니스 연결이 지속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 MICE 전환을 위한 글로벌 기준과 인증
지속가능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 전시 인증제도들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인증명 | 설명 |
ISO 20121 | 지속가능한 이벤트 관리 시스템 국제표준. 런던 올림픽부터 적용됨 |
UN SDGs | UN 지속가능개발목표. 기획 시 SDGs 기반 가치 반영 권장 |
Green Meeting Standard | 미국 환경보호청(EPA) 기준 기반 행사 운영 인증 |
Event Sustainability Management System | 글로벌 회의 이벤트 전용 환경 인증제 |
MICE 기획자가 실천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항목확인 | 여부 |
디지털 자료 중심 운영(페이퍼리스) | ✅ |
재사용 가능한 부스/장비 사용 여부 | ✅ |
지역 인재 기업 활용 비율 | ✅ |
무장애 공간 및 포용적 설계 반영 | ✅ |
탄소 배출량 측정 및 상쇄 계획 수립 | ✅ |
참가자 피드백 기반 후속 콘텐츠 운영 | ✅ |
ESG 보고서 발간 또는 성과 공유 여부 | ✅ |
MICE 산업의 미래는 지속가능성 위에 세워진다
MICE 산업은 축제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는 막대한 자원 소비, 이해관계자 협력, 도시 브랜딩, 경제 파급 효과가 얽혀 있는 복합 산업입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MICE 산업을 실현하려면 단순한 환경 캠페인을 넘어 전략적인 기획, 이해관계자 협력, 그리고 참가자 중심의 운영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제 MICE 산업도 단기적 행사 성공이 아닌, 지역과 산업, 환경과 사람 모두에게 지속가능한 가치를 남기는 시스템으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