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디자이너 생존 전략(기획력+수익모델다각화)
AI시대 “디자이너는 사라질 것인가?”AI로 이미지도 만들고, 웹페이지도 디자인하고, 썸네일도 만드는 시대.그래픽 디자이너, 편집 디자이너, UI 디자이너들에게는 위기가 아닌가 생각할 수 있습니다."디자인 툴 없이도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AI가 있는데, 이제 내 일이 없어지는 건 아닐까?"그런데, 정말 디자이너는 없어질까요?AI 시대, 디자이너 생존 전략은 무엇인지 알아볼게요."사라지는 건 '기술자'가 아니라, '기획 없는 작업자'입니다."변화의 본질: 툴을 쓰던 사람에서 툴을 설계하는 사람으로디자이너라는 직업의 본질은 단순히 그림을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디자인은 문제를 해결하고,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람과 브랜드를 연결하는 일이죠.과거엔 이렇게 일했습니다포토샵으로 배너 하나 직접 제작편집툴로 책자..
2025. 5. 17.
엄나무 효능, 약이 되는 나무
순부터 껍질까지 전부 쓰이는 한국의 대표 약용나무산책길에서 울퉁불퉁한 가시가 촘촘히 돋은 나무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손으로 만지면 따끔해서 본능적으로 피하게 되지만, 알고 보면 이 나무는 아주 귀한 존재입니다.이름하여 ‘엄나무’, 예부터 ‘약이 되는 나무’로 알려져 왔죠.오늘은 순, 껍질, 가지 하나하나가 버릴 것 없는 엄나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엄나무란?엄나무(학명: Kalopanax septemlobus)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엄나무’라는 이름은 순우리말로, 줄기와 가지에 있는 날카로운 가시를 ‘엄하다’고 표현해 붙여진 이름이라 전해져요.엄나무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의 산지에서 자생하며, 높게 자라는 나무로 10m 이상 자라기도 합니다.봄에는 순이, 여름엔 잎이 무성하게 피..
2025. 5. 16.
땅두릅, 봄을 밟고 올라온 귀한 나물(효능, 먹는법, 보관팁)
이맘때쯤 장 보러 가면 낯익은 듯 낯선 이름들이 진열대에 하나둘 등장합니다.달래, 냉이, 취나물… 그리고 그중에서 눈에 띄는 이름 하나, 바로 땅두릅이에요.두릅은 많이 들어봤는데, 땅두릅은 또 뭘까?“두릅인데 땅에서 나는 거야?” 싶은 분들 많으시죠.맞습니다. 땅에서 올라오는 두릅, 그래서 이름도 ‘땅두릅’입니다.하지만 생김새부터 맛, 영양까지 일반 두릅과는 꽤 다릅니다.오늘은 그 매력을 낱낱이 알려드릴게요! 땅두릅이란?땅두릅은 엄나무 순(음나무순)의 별칭이에요.두릅과 생김새가 비슷하고, 마치 땅에서 솟아오른 것처럼 자라기 때문에‘땅두릅’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두릅처럼 나무에서 뽑는 것이 아니라, 어린싹이 땅에서 돋아날 때 수확하죠.잎이 퍼지기 전에 따야 가장 연하고 향긋한 상태예요.외형은 살짝 통통한..
2025. 5. 16.